2025년 10월 2일 오늘의 개발 요약
·
개발 요약
Android안드로이드 성능 튜닝 — 안드로이드 앱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최신 업데이트에서는 메모리 사용량과 CPU 효율성을 개선하는 여러 기능을 도입하였다. 이로 인해 앱이 더 빠르고 반응성이 뛰어나게 된다. 옵티마이저 기능을 활용해 불필요한 리소스 사용을 최소화하고, 코드 스니펫을 통해 메모리 관리 기법을 적용하거나, 비동기 처리를 통해 UI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호환성이나 배터리 소모와 같은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 성능 테스트 툴을 활용하여 사전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fun optimizeMemoryUsage() { val bitmap = BitmapFactory.decodeResource(resources, R.d..
2025년 10월 1일 오늘의 개발 요약
·
개발 요약
AndroidAndroid 성능 최적화 — Android 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팁들이 존재한다. 특히 메모리 관리와 UI 렌더링 최적화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프로파일링 도구를 활용하여 앱의 느려지는 부분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비동기 작업을 통해 UI 스레드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Gradle의 빌드 최적화를 통해 컴파일 속도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CI/CD 도구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fun fetchUserData() { GlobalScope.launch { val userData = async { getUserDataF..
2025년 9월 29일 오늘의 개발 요약
·
개발 요약
AndroidAndroid 성능 튜닝 — Android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법에는 메모리 관리, CPU 사용 최적화, 네트워크 요청 최소화가 포함된다. 우선,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LeakCanary 같은 도구를 사용해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다음으로, UI 스레드에서의 작업을 줄이기 위해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비동기 작업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Retrofit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PI 호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캐싱을 통해 네트워크 요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링 도구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성능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 fun fetchDataFromApi() { // 비동기 ..
Dart 3.8 출시! 새로운 기능과 주요 변경 사항 정리
·
Flutter
2025년 5월 20일, Dart 팀이 Dart 3.8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번 릴리스는 생산성 향상과 크로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코드 포맷팅과 문법 개선, 크로스 컴파일, 웹 핫리로드, FFI 개선 등이 주요 핵심입니다.이번 블로그에서는 Dart 3.8의 핵심 기능들을 간결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1. 코드 포맷터(Formatter) 개선Dart 3.8부터 dart format 명령어를 실행하면 더 똑똑한 스타일 자동 정리가 적용됩니다.trailing comma 자동 처리→ 이제 불필요한 줄바꿈을 줄이고, 더 깔끔한 포맷을 유지합니다.중첩된 컬렉션 / 메서드 체이닝 정렬 개선→ 가독성이 더욱 향상된 코드 스타일 제공기존 스타일을 유지하고 싶다면 analysis_..
Flutter Hive
·
Flutter
Flutter에서 로컬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가 Hive다. SQLite와 달리 스키마를 정의할 필요가 없고,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복잡한 관계형 데이터 없이도 간단한 데이터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Hive의 개념부터 설치, 설정, 예제 코드까지 상세히 설명해보겠다.1. Hive란?Hive는 경량 Key-Value 기반 NoSQL 데이터베이스로, Flutter 및 Dart 애플리케이션에서 로컬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된다.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빠른 성능: SQLite보다 읽기/쓰기 속도가 빠르다.NoSQL 구조: 테이블을 정의할 필요 없이, 객체를 바로 저장할 수 있다.직렬화 불필요: JSON처럼 변환할 필요 없이, Dart 객체 그대로 저장이 가..
Flutter 3.29 & Dart 3.7 업데이트
·
Flutter
Flutter와 Dart는 개발자 생산성 향상과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꾸준히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Flutter 3.29와 Dart 3.7 업데이트에서는 특히 렌더링 엔진, 플랫폼 인터롭, 웹 성능, DevTools 개선 등 여러 핵심 기능들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변경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엔진 및 렌더링 개선iOS – Impeller가 기본 렌더러로 전환Skia 완전 제거: 이제 iOS에서는 Skia 대신 Impeller가 유일한 렌더러로 사용됩니다.바이너리 크기 감소 및 성능 최적화: 불필요한 코드가 제거되어 앱의 크기가 줄고, 렌더링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새로운 렌더링 기능: BackdropFilter 최적화와 ImageFilter.shader 생성자 등을 통해..
Flutter - 테스트 종류
·
Flutter
참고: https://flutter-ko.dev/docs/cookbook/testing https://mangkyu.tistory.com/182 [TDD] 단위 테스트와 TDD(테스트 주도 개발) 프로그래밍 방법 소개 - (1/5) 이번에는 여러 개발 서적들 및 실무 경험 그리고 시행 착오 등을 겪으면서 얻은 테스트 주도 개발 방법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단위 테스트와 중요성 그리고 단위 mangkyu.tistory.com 플러터에서는 어떤 테스트 방법이 있을까? 플러터에서는 크게 Unit test, Widget test, Integration test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공통 먼저, test 라이브러리를 import해주기 위해 flutter/pubspec.yaml 에 해..
Flutter - Unit Testing
·
Flutter
플러터 유닛 테스팅 유닛 테스팅 (Unit Testing) 첨엔 핫리로딩의 효율성이 정말 좋다보니 테스팅을 할 필요성을 못 느꼈었는데요. 점차 코드를 추가하다보니 테스트를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에 테스팅을 공부하면서 다트가 정말 잘 만들어졌구나 하는 걸 느꼈습니다. 사실 다트의 테스팅도 다른 테스트와 비슷합니다. 용어가 조금 다를 뿐이죠. 이번 글을 통해 제가 개발하며 배운 테스팅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플러터에서 쓰이는 테스트 방식은 크게 3가지인데요. 유닛 테스트, 위젯 테스트, 통합 테스트입니다. 뒤로 갈수록 테스팅의 규모가 커지는 대신, 시간이 더 오래걸리죠. 이번 글에선 유닛 테스팅을 알아보도록 할께요. 1. Unit Testing 유닛 테스팅은 메소트나 클래스처럼 작은 단위를 테스트할..
Flutter - runApp() , Widget
·
Flutter
runApp() runApp 함수는 Flutter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최상위 함수. runApp 함수는 애플리케이션의 루트 위젯인 단일 매개변수를 사용. 이 루트 위젯은 앱의 최상위 위젯이며 앱의 다른 위젯을 만들고 관리하는 역할. Widget 위젯 Flutter에서 위젯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구성 요소 버튼, 텍스트 필드, 이미지 등과 같은 앱의 시각적 및 대화형 요소를 정의하는 데 사용 위젯은 웹 개발에서 HTML 요소와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StatelessWidget StatelessWidget은 일단 생성되면 모양이나 동작을 변경할 수 없는 위젯 유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빌딩 블록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태나 변경 사항에 의존하지 않는 재사용 가능한 구성 요소를..
Flutter - Android , Ios
·
Flutter
android 빌드 확인 사항 최신 버전의 Android SDK 및 Android Studio를 설치했는지 확인. 프로젝트 보기를 사용하여 Flutter 프로젝트에서 "android" 폴더를 열기. android 디렉터리 아래의 build.gradle 파일에 지정된 Gradle 버전을 확인. 이전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app 디렉터리 아래의 build.gradle 파일을 수정하여 minSdkVersion, targetSdkVersion 및 서명 구성과 같은 Android 빌드 설정을 구성한다. 여기에서 종속성과 플러그인을 추가할 수도 있다. Android 매니페스트 파일을 사용자 정의해야 하는 경우 app/src/main 디렉토리에 AndroidManifest.xml 파일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