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 Android 성능 튜닝 — Android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법에는 메모리 관리, CPU 사용 최적화, 네트워크 요청 최소화가 포함된다. 우선,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LeakCanary 같은 도구를 사용해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다음으로, UI 스레드에서의 작업을 줄이기 위해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비동기 작업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Retrofit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PI 호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캐싱을 통해 네트워크 요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링 도구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성능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
fun fetchDataFromApi() {
// 비동기 작업으로 네트워크 요청 수행
GlobalScope.launch(Dispatchers.IO) {
val response = apiService.getData()
updateUI(response) // UI 업데이트는 Main 스레드에서 수행
}
}
Swift / iOS
- Swift Concurrency를 활용한 작업 취소 패턴 — Swift 5.5부터 도입된 Concurrency 모델은 비동기 코드를 더욱 쉽게 작성할 수 있게 해줘서, 작업 취소 기능을 구현하는 데도 유용하다. Task를 사용하면 쉽게 작업을 시작하고, 필요 시 취소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작업을 유연하게 취소할 수 있다. 취소 요청에 대한 반응으로 코드에서 Task.checkCancellation()을 사용해 작업이 중단됐는지 체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도 앱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let task = Task {
for i in 1...5 {
try Task.checkCancellation()
print("작업 진행 중: \(i)")
await Task.sleep(1_000_000_000) // 1초 대기
}
}
Flutter / Dart
- Flutter의 Riverpod 상태 관리 패턴 — Riverpod은 Flutter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더 안전하고 구조적인 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다. Riverpod은 Provider 패턴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종속성 형성을 위한 Provider 클래스를 제공하여 수명 주기 관리가 용이하다. 특히, 위젯 트리에 의존하지 않는 상태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테스트와 리팩토링이 간편해진다. 또한, 리빌드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Riverpod을 사용할 때는 ProviderScope로 위젯 트리를 감싸고, 필요한 상태를 Consumer 위젯을 통해 접근하면 된다.
final myProvider = StateProvider((ref) => 0);
class MyWidget extends ConsumerWidget {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WidgetRef ref) {
final count = ref.watch(myProvider).state;
return Column(
children: [
Text('Count: $count'),
ElevatedButton(
onPressed: () => ref.read(myProvider).state++,
child: Text('Increment'),
),
],
);
}
}
React
- React에서의 성능 최적화 기법 —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있다. React.memo, useMemo, useCallback을 활용하여 컴포넌트와 함수의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리액트의 shouldComponentUpdate 및 useMemo를 적절히 활용하면 컴포넌트가 필요할 때만 업데이트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드 스플리팅이나 Lazy Loading을 통해 초기 로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성능 모니터링 도구를 이용해 병목 현상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기법들은 최적화에 큰 도움을 주며 앱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const MyComponent = React.memo(({ value }) => {
return <div>{value}</div>;
});
const App = ()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increment = useCallback(() => setCount(c => c + 1), []);
return (
<div>
<MyComponent value={count} />
<button onClick={increment}>Increment</button>
</div>
);
};
Libraries & Tools
- 빌드, 테스트, 배포 도구의 최적화 — 애플리케이션의 빌드 시간과 테스트 속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도구와 기법이 있다. 예를 들어, Gradle의 병렬 처리 기능을 활용하여 빌드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Docker를 사용하여 컨테이너화된 환경에서 일관된 테스트 환경을 만들 수 있다. CI/CD 시스템을 도입하면 자동화된 빌드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어 코드 변경 시 쉽게 배포할 수 있다. 최적화를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개발자 팀의 필요에 따라 결정해야 하며,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효율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Docker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실행 명령
docker run --rm -v "$(pwd)":/app -w /app node:14 npm test
'개발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0월 7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7 |
---|---|
2025년 10월 3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3 |
2025년 10월 2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2 |
2025년 10월 1일 오늘의 개발 요약 (1) | 2025.10.01 |
2025년 9월 30일 오늘의 개발 요약 (1) | 202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