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8일 오늘의 개발 요약

2025. 10. 8. 10:02·개발 요약
728x90

Android

  • Android 성능 튜닝 — Android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먼저, UI 스레드에서 긴 작업을 피하고 백그라운드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불필요한 메모리 사용을 줄이기 위해 메모리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Profiler 도구를 통해 메모리 및 CPU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RecyclerView와 ViewHolder 패턴을 활용하여 데이터 표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성이 높아질 수 있다.

 

 

fun loadData() {

    val backgroundThread = Thread {

        // 긴 작업 수행

    }

    backgroundThread.start()

}

 

 

Swift / iOS

  • async/await 취소 패턴 — Swift의 async/await 기능을 사용할 때 비동기 작업을 취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Task를 사용하여 새로운 비동기 작업을 생성하고, 필요할 때 해당 Task를 취소할 수 있다. 취소된 작업의 결과를 처리할 수 있도록 에러 처리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법은 비동기 작업이 끝나기 전에 사용자가 다른 행동을 했을 때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또한, UI 업데이트 시에는 반드시 메인 스레드에서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let task = Task {

    do {

        try await someAsyncFunction()

    } catch {

        print("작업이 취소되었습니다.")

    }

}

 

// 취소할 때

task.cancel()

 

 

Flutter / Dart

  • Riverpod 상태 관리 패턴 — Flutter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Riverpod을 사용할 수 있다. Riverpod은 상태 관리를 위한 강력하고 유연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태의 변화를 쉽게 감지하고 UI를 다시 빌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의존성 주입이 용이해진다. Riverpod을 사용하면 간단한 전역 상태 관리는 물론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Flutter에서의 상태 관리를 훨씬 더 수월하게 만들어준다.

 

 

final myProvider = StateProvider<int>((ref) => 0);

 

void updateValue(WidgetRef ref) {

  final currentValue = ref.read(myProvider).state;

  ref.read(myProvider).state = currentValue + 1;

}

 

 

React

  • React 훅 사용 시 성능 최적화 —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훅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useMemo와 useCallback 훅을 활용하여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할 수 있다. 상태 변경에 따라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될 때, 참조가 동일한 경우에는 새로운 객체나 배열을 생성하지 않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렌더링 비용을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const MemoizedComponent = React.memo(({ data }) => {

    // 컴포넌트 로직

});

 

const ParentComponent = () => {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computeExpensiveValue(a, b), [a, b]);

    return <MemoizedComponent data={memoizedValue} />;

};

 

 

Libraries & Tools

  • 빌드 도구 최적화 — 애플리케이션의 빌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Gradle의 경우, buildCache를 활성화하여 이전 빌드 결과를 재사용 가능하게 설정함으로써 빌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Jenkins와 같은 CI/CD 도구를 통해 자동화된 빌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테스트 커버리지를 높여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중복된 의존성 관리를 피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라이브러리만 사용하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gradlew build --build-cache

728x90
LIST

'개발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0월 10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2025.10.10
2025년 10월 9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2025.10.09
2025년 10월 7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2025.10.07
2025년 10월 3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2025.10.03
2025년 10월 2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2025.10.02
'개발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10월 10일 오늘의 개발 요약
  • 2025년 10월 9일 오늘의 개발 요약
  • 2025년 10월 7일 오늘의 개발 요약
  • 2025년 10월 3일 오늘의 개발 요약
Mr. Joo
Mr. Joo
  • Mr. Joo
    삽질의 시작
    Mr. Jo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30) N
      • 개발 요약 (9) N
      • Flutter (71)
      • Android (9)
      • Swift (5)
      • React (11)
      • 인공지능 (4)
      • CS (10)
      • 개발 뉴스 (108)
      • IT 기기 (1)
      • 알면 유용한 정보 (2)
  • 인기 글

  • 태그

    플러터
    오늘의 기술 뉴스
    Swift
    뉴스
    Dart 기초
    오늘의 뉴스
    개발
    기술 뉴스
    개발 이슈
    앱
    Flutter
    오늘의 이슈
    android
    react
    DART
    이슈
    개발 뉴스
    오늘의 개발 뉴스
    기술
    앱 개발
  • 최근 댓글

  • 최근 글

  • 250x250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Mr. Joo
2025년 10월 8일 오늘의 개발 요약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