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 Android 성능 튜닝 — Android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접근법을 다룬다. 권장되는 방법에는 메모리 관리, UI 스레드 최적화, Lazy Loading 등이 포함된다. 메모리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줄이고, RecyclerView와 ViewHolder 패턴을 활용해야 한다. UI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만 지연 로딩하고, Animation 및 Transition을 부드럽게 유지해야 한다. 이외에도 StrictMode를 통해 네트워크 및 디스크 작업을 디버깅하고, Profiler 도구를 활용하여 병목 현상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fun optimizedFunction() {
// UI 스레드에서 네트워크 작업을 피하기 위해 Coroutine 사용
GlobalScope.launch(Dispatchers.IO) {
val response = fetchDataFromNetwork()
withContext(Dispatchers.Main) {
// UI 업데이트
updateUI(response)
}
}
}
Swift / iOS
- Swift async/await 패턴 활용 — Swift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단순하게 만들어주는 async/await 패턴을 소개한다. 이 패턴은 복잡한 콜백 구조를 단순화하며 가독성을 높인다. 비동기 작업을 수행할 때는 async 키워드를 함수 앞에 추가하고, 해당 작업의 결과를 기다리기 위해 await를 사용한다. 이는 특히 네트워크 요청이나 파일 I/O와 같이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에서 유용하다. 하지만 이 패턴을 사용할 때는 async 함수가 예외를 던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적절한 오류 처리를 포함해야 한다.
func fetchUserData() async throws -> User {
let url = URL(string: "https://api.example.com/user")!
let (data, _) = try await URLSession.shared.data(from: url)
return try JSONDecoder().decode(User.self, from: data)
}
Flutter / Dart
- Flutter Riverpod 패턴 — 상태 관리를 위한 Riverpod 패턴은 Flutter 애플리케이션에서 더욱 강력한 상태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Riverpod는 Provider의 변형으로, 더 높은 성능과 간결한 API를 제공한다. 이는 상태를 전역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Widgets가 변경될 때만 rebuild됨으로써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인다. Riverpod는 compile-time safety를 제공하여 실수로 인한 오류를 줄이며, 다양한 스코프 모델링 기능으로 코드의 구조화도 용이하다. 실무에서는 상태를 잘 나눠서 관리하고, 적절히 useProvider를 활용해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final counterProvider = StateProvider<int>((ref) => 0);
class CounterWidget extends ConsumerWidget {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WidgetRef ref) {
final count = ref.watch(counterProvider).state;
return Column(
children: [
Text('Count: $count'),
ElevatedButton(
onPressed: () => ref.read(counterProvider).state++,
child: Text('Increment'),
),
],
);
}
}
React
- React Hooks를 이용한 성능 최적화 —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Hooks를 활용하는 것이 있다. useMemo와 useCallback 훅을 이용해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고, 컴포넌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useMemo는 값이 변경될 때만 계산을 반복하게 도와주며, useCallback은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여 자식 컴포넌트에 불필요한 re-rendering을 방지한다. 이는 특히 리스트나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 저하를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const MyComponent = React.memo(({ items }) => {
const memoizedItems = useMemo(() => {
return items.map(item => <ListItem key={item.id} {...item} />);
}, [items]);
return <div>{memoizedItems}</div>;
});
Libraries & Tools
- 빌드 최적화를 위한 Gradle 설정 — Android 프로젝트의 빌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Gradle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Gradle의 parallel 및 daemon 기능을 활성화하면 여러 모듈을 동시에 빌드할 수 있어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build.gradle 파일에서 minifyEnabled 및 shrinkResources를 설정하여 생산용 APK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캐시를 활용하여 의존성을 재빌드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도 중요한 팁이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반복적으로 빌드하는 과정에서의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다.
# Gradle properties
org.gradle.parallel=true
org.gradle.daemon=true
'개발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0월 10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10 |
---|---|
2025년 10월 8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8 |
2025년 10월 7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7 |
2025년 10월 3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3 |
2025년 10월 2일 오늘의 개발 요약 (0) | 2025.10.02 |